IMK) Diuretics

Med 2012. 10. 16. 00:37 Posted by Xaviniesta


늘 저를 괴롭히는 것중에 하나가 '어떤 이뇨제를 선택할 것인가' 입니다
오늘은 오랜만에 제대로 된 정리를 해볼까 해요

우선 Nephron은 Glomerulus, tubule, juxtaglomerular apparatus로 구성됩니다
Tubule 은 proximal tubule, Loop of Henre, distal tubule, collecting tubule, collecting duct 으로 구성되죠
이뇨제 각각의 작용점에 따라 정리해 보겠습니다



1.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(CAI)  : Proximal tubule 에 작용

* 약제 : Acetazolamide
* Carbonic anhydrase 는 한국말로는 탄산무수화 효소라고 하죠 CO2를 물에 녹여 HCO3 형태로 바꿔 이동시켜주는 효소입니다
* Proximal tubule 에서 Na, HCO3, Cl, H2O 재흡수 억제&배설을 촉진, 이뇨와 동시에 Metabolic acidosis를 일으킬수 있습니다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> Urine alkalization
* Ix : metabolic acidosis 가 동반된 edema, 녹내장, 뇌압 상승시, 급성 고산증 등






2. Loop diuretics : Loop of Henre 에 작용

* 약제 : Furosemide (Lasix) (Most common) , bumetanide, ethacrynic acid, torasemide
* Henre's Loop 의 ascending limb 의 Na-K-2Cl co-transporter (NKCC) 를 억제
* 여과된 Na+ 을 25%까지 배설시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이뇨제!
* GFR도 증가시켜 GFR 40ml/min 이하인 신부전에서도 사용 가능
* Side Effect  : Hyponatremia, Hypokalemia, Hypomagnesemia, Hypocalcemia, Metabolic alkalosis, 심한경우 체액량 감소
Hyperuricemia, hyperlipidemia, glucose intolerance, acute interstitial nephritis, ototoxicity
* Ix : CHF, LC, Nephrotic syndrome 등에 의한 부종, hypercalcemia시, SIADH (syndrome of inappropriate secretion of ADH)







3. Thiazide 계 이뇨제  : Distal tubule 에 작용

* 약제 : hydrochlorothiazide (most common), chlorthalidone, indapamide, metolazone
* distal tubule 의 Na-Cl co-transporter (NCCT)를 억제
* Side Effect : Hyponatremia, Hypokalemia, Hypercalcemia, hypomagnesemia, hyperuricemia, hyperlipidemia, 성기능 장애
* Ix : 고혈압의 치료, hypercalcemia 로 인한 요로결석 ( NCCT 억제에 따라 이차적으로 Ca2+ channel 활성화 --> Ca2+ 재흡수증가)







4. Potassium-sparing diuretics : Collecting duct에 작용

* collecting duct에 작용, aldosterone antagonist 또는 Na+ channel (ENaC) 차단
aldosterone antagonist : spironolactone
epithelial Na+ channel (ENaC) 억제 : amiloride, triamterene
*  Side Effect : Hyperkalemia (특히 신기능 저하시 위험)
Spironolactone : Metabolic acidosis (aldosterone에 의한 H+배설을 차단해서), Gynecomastia, libido 감소, 불규칙한 월경
* Ix : 다른 강력한 이뇨제와 병용하여 Hyperkalemia 를 방지
Spironolactone : 심하지 않은 부종 (ex. LC) , Hypokalemic alkalosis에서의 K+ sparing 위해서
Amiloride, triamterene : Liddle's syndrome (ENaC 활성 과다)







5. V2 (Vasopressin) receptor antagonist : Collecting duct에 작용

* collecting duct 에 작용하여 vasopressin(V2) receptor 를 차단 --> ADH 작용을 억제 --> free water 배설증가
* Ix : 부종이 동반된 hyponatremia, SIADH


'M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UR) Fluid별 electrolyte contents  (0) 2012.11.21
IMK) Hyperkalemia 와 Hypokalemia 의 ECG  (0) 2012.11.21
INF) 우리 Clindamycin이 달라졌어요  (0) 2012.10.11
OBGY) 산과적 수기 정리  (0) 2012.09.22
OBGY) Pathologic retraction ring  (0) 2012.09.18